기억현상과 망각理論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19 14:55
본문
Download : 기억현상과 망각이론.hwp
주도과제課題에 의한 우연학습實驗(실험)은 처리수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해준다. 이 모형은 기억흔적의 수명이 처리수준에 의해 좌우된다고 규정한다. 이 ahgd에 의하면 우리의 정보처리기관에 수용되는 자극들은 심도가 얕은 감각적 分析(분석)에서부터 심도가 깊은 복합적이며 추상적이며 의미론적인 分析(분석)단계에 걸쳐 처리되어 진다. Craik과 Tulving(1975)은 피험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의 피험자들은 주어진 목록내의 단어들이 대문자이냐 소문자이냐를, 둘째 집단의 피험자들은 그 단어들이 특정 단어와 운이 같은가 다른가를, 세 번째 집단의 피험자들은 그것이 특정 문장의 함 부분으로서 적합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.
처리 수준 모형의 theory 적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연학습(incidental learning)이라 불리어지는 實驗(실험)패러다임이 자주 사용된다 우연학습이란 학습자의 의도 없이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. 즉, 처리 수준 모형에 의하면 첫째 조건은 …(투비컨티뉴드 )
,공학기술,레포트
Download : 기억현상과 망각이론.hwp( 15 )






Craik과 Lockhart(1972)에 의해 제시된 처리수준모형(level of processing model)은 단일 구조理論들 중에서 가장...
설명
Craik과 Lockhart(1972)에 의해 제시된 처리수준모형(level of processing model)은 단일 구조이론들 중에서 가장... , 기억현상과 망각이론공학기술레포트 ,
기억현상과 망각理論
레포트/공학기술
순서
다. 따라서 첫 집단에게는 문자의 외형구조 주도과제課題가, 두 번째 집단에게는 음소 주도적 과제課題가, 세 번째는 의미 주도 과제課題가 주어졌다. 만약 입력된 정보가 감각적 특징과 같은 얕은 수준의 처리만을 거치게 되면 기억 흔적이 곧 소멸되며 깊은 수준에서 처리되면 영구적으로 남는다는 것이다. 예를 들어, 피험자에게 단어들이 적힌 목록을 준 뒤 각 단어들의 철자들이 맞는지 틀린지를 확인하도록 지시한 후 확인이 끝나는 대로 목록내의 단어들에 대한 예정에 없었던 기억검사를 실시한다. 만일 이 때 학습이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되면 학습이 우연히 일어났다고 간주할 수 있따 기억검사가 나중에 실시될 것이라는 것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자 고치기 같은 기억검사와 관계없는 과제課題를 주도과제課題(主導課題;orienting tasks)라고 부른다.
Craik과 Lockhart(1972)에 의해 제시된 처리수준모형(level of processing model)은 단일 구조theory 들 중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theory 이다.